본문 바로가기

당구 기본

당구, 빗겨치기 기본(1/2)

인트로

빗겨치기는 많은 유저가 좋아하고 반드시 숙달해야 할 기본 배치에 속한다.

몇 가지 시스템을 적용해보기도 했지만 필자는 복잡한 계산을 싫어하기 때문에 여러 과정을 거쳐서 현재의 방법을 애용하게 되었다. 

그리고 필자가 매우 애용하는 공략법이므로 애정을 갖고 여러 회에 거쳐 소개할 예정이다.

 

빗겨치기는 다음과 같은 배치의 공략을 의미한다. 

 

 

☞ 특정 배치에서의 공략을 놓고 빗겨치기인가? 뒤돌리기인가?의 논란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 

당구는 의도한 대로 맞추면 되고 맞추는 과정에서 어떠한 시스템 또는 공략법을 이용했는지는 본인만 알면 된다고 생각한다.

 

빗겨치기는 다음의 과정을 거쳐서 최종 공략을 한다.

 

  1. 기울기 재기, 기본
  2. 주어진 배치에서 3쿠션 지점 잡기
  3. 기울기에 따른 수구 분리각 체크
  4. 3쿠션 지점까지 도달하기 위한 회전 추가 

기울기 재기, 기본

먼저 기울기 재기이다. 

기울기란 요소는 당구 테이블에서 기울기는 여러 시스템에서 활용이 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또는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감각적으로 기울기를 인지하고 두께, 회전, 당점, 스트로크 등의 초이스를 조합할 수밖에 없다. 

 

처음에는 어려울 수 있으나 자주 반복하면 2~3초 안에 기울기 확인이 가능하다. 

6, 4, 2기울기 외에도 3, 5 기울기와 6 이상의 기울기도 있지만 3개만 소개한 이유는 외우기가 편해서 이다. 

일단 이러한 것이 있다라고 생각하고 넘어가자. 

 

기울기를 재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6, 4, 2 기울기가 익숙해지면 사용하지 않을 방법이지만 어떤 원리에 의해서 기울기를 측정하는지는 한 번 짚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1. 수구(흰공)가 1적구를 빗겨맞는 면에 이미지 볼을 그리고 선을 길게 그어보자. // 흰색 선
  2. 그리고 그은 선에서 직각으로 2가상의 라인을 그려보자. // 노란색 선
  3. 동일하게 3번도 그려보자. // 노란색 선
  4. 두 선 안에 몇 포인트가 되는지 체크해보자. 

위 그림에서 기울기는 5가 조금 안되는 기울기를 가졌다. 

 

기울기를 제일 먼저 소개한 이유는 수구가 1적구를 빗겨맞은 후 어떠한 반사각을 그리는지 계산하기 위해서이다. 

반사각을 설명하기 전에 다음 단계로 3쿠션 지점 잡기를 진행해보자. 

 

주어진 배치에서 3쿠션 지점 잡기

다음 단계는 3쿠션 지점 잡기이다. 

3쿠션 지점을 잡기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발품을 팔아 3쿠션 예상 지점 근처로 이동하는 것이다.

3쿠션 지점은 처음 위치를 잡는 사람이라면 위치에 오차가 있겠지만 자주 확인하고 공략하고 반복한다면 오차가 점점 적어지는 과정을 겪을 것이다. 

완전히 감이 없는 경우라면 대략 2팁 회전의 느린 스피드의 파이브앤하프 시스템의 길을 대입해 보는 것도 방법이다. 

 

이미 3쿠션 지점이 익숙한 사람이라면 2쿠션 지점도 예측해보자. 

훨씬 정확도가 올라가는 것을 느낄 것이다. 

 

 

수구의 분리각 체크해보기

기울기를 확인하고 3쿠션 지점을 예측했다면 기울기에 따라 수구의 분리각을 체크해 보는 것이다. 
다행히 기울기에 따른 수구 분리각은 공식이 있다. 

일출일몰 같은 시스템 숫자를 외우지 않는 대신에 우리가 익숙하게 해야할 것이 이 수구 분리각 공식이다. 

 

설명을 위해 앞에서의 6, 4, 2 기울기 이미지를 가져왔다. 

 

무회전으로 1적구를 빗겨 쳤을 때 1쿠션에서 2쿠션으로 진행하는 공의 분리각이다. 

6, 4, 2 기울기외에도 추가 기울기에 대한 설명을 하면 아래와 같다. (이미 눈치 챘을 수도 있다. )

 

  • 2기울기 = 제자리
  • 3기울기 = 반포인트
  • 4기울기 = 1포인트
  • 5기울기 = 1.5포인트 
  • 6기울기 = 2포인트 

 

이 중 2, 4, 6만 익숙하게 하고 다른 지점은 응용하면 편하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내 스트로크와 무회전 당점으로 기울기에 따른 1적구를 공략하였을 때 수구의 도착지점을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보통 각 기울기별로 1적구 두께 공략은 1적구가 단 -> 단으로 입사하는 두께이므로 기울기마다 가변적이다. 

가장 연습이 많아야할 부분이다. 

특히 다음 단계에서 회전을 추가할 경우 두께 공략에 심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니 무회전부터 차근차근 연습해 보자. 

이 조건이 만족하지 않는다면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덧붙이면 당구에서 시스템이란 이렇게 주고 이렇게 치면 이렇게 도착한다가 아니라.

가이드를 제시하는 것으로 정리해놓은 시스템에서 맞는 조건에 비슷하게 공략을 하면 비슷한 위치에 이동한다라고 보는 것이 좋다. 

 

3쿠션 지점까지 도달하기 위한 회전 추가 

이 연습이 되었다면 다음은 회전을 추가하는 것이다. 

총 3개의 명시적인 팁을 사용하고 1팁 당 1포인트를 이동한다. 

3쿠션에서는 1팁당 반포인트를 이동한다. 

빗겨치기는 코너를 돌아서 나와야 하는 시스템이므로 코너를 돌기전 1팁은 1칸, 코너를 돌고나서는 1팁은 0.5칸이라고 보면 된다. 

 

이 그림에서 기울기는 4보다 조금 크므로 무회전 기준 1칸을 조금 넘게 된다.

여기에서 1팁을 주면 코너를 돌게되고 2팁을 주면 거의 맞지만 3팁은 조금 과할 수 있다. 

3팁을 주고 쳐보고 약간 회전을 뺀 2.5팁으로도 공략해보면 조금 더 감이 올 것이다. 

 

팁에 따른 포인트 이동을 처음 접한 경우라면 매우 난감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까지 연습을 하였다면 바로 실전 배치로 적용이 가능하다. 

다양한 배치를 놓고 연습해 보자. 

 

2023.09.11 - [당구 기본] - 당구, 빗겨치기 기본(2/2)

반응형

'당구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구, 더블쿠션 기본(1/2)  (0) 2023.09.13
당구, 빗겨치기 기본(2/2)  (0) 2023.09.11
당구, 좋은 스트로크, 자세, 브릿지  (0) 2023.09.08
당구, 대칭의 이해  (2) 2023.09.05
당구, 횡단샷 시작하기  (0) 2023.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