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13 - [당구 기본] - 당구, 더블쿠션 기본(1/2)
에서 이어지는 글입니다.
더블쿠션 완성도 높히기
더블 쿠션은 3쿠션의 기본 배치 중에서도 높은 난이도에 속하며 초심자들에게는 매우 어려운 공일 것이다.
그러나 더블 쿠션을 자주 공략해서 성공해본 중점자 이상의 유저들은 어느 정도의 감각을 갖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스트로크가 좋지(?) 않다면 테이블의 특성이나 스트로크의 특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공이 될 것이다.
게다가 어려운 공이라는 심리적인 요소도 작용하여 스트로크가 부자연스럽다면 더 민감해진다.
따라서 우선 자주 성공이 되는 배치를 많이 연습하여 기준점을 잡아두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필자는 2기울기, 4기울기, 6기울기에 대한 연습을 많이 하였고
게임 중 받는 배치를 공략할 때 2보다 작거나 큰가? 4보다 작거나 큰가? 6보다 큰가?와 같은 응용을 통해 빠르게 단순화하고 디테일을 추가해서 완성도를 높힌다.
다음의 과정으로 완성도를 높혀보자.
5. 전체 흐름 체크
6. 스트로크, 탄력
전체 흐름 체크
빗겨치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전체 흐름 체크는 모든 배치에서 완성도를 높히는 필수 과정이다.
당구가 이렇게 치면 이렇게 간다라고 공식화하면 매우 좋겠지만 공의 차이, 테이블의 차이와 같은 물리적인 것 뿐만 아니라 항상 오르락 내리락 하는 심리적인 것까지 영향을 받기 때문에 게임 중에 느꼈던 감각을 대입하는 과정을 냉정하게 반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여유가 된다면 1적구와 2적구의 키스 또는 1적구와 수구의 키스 등도 고려하여 두께, 당점, 스트로크를 변형하면 좋다.
이러한 내용은 추후 더블쿠션 응용 편에서 다룰 예정이다.
20점 초반 이하의 점수대에서는 2적구가 단에서 멀어져 장 위치에 있을 경우 이것만으로도 어려운 점들이 생긴다.
1. 2쿠션 위치 잡기가 어려워진다.
2. 스트로크 스피드가 달라지고 힘이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
3쿠션이 아닌 4쿠션 공략 시 2쿠션 위치 잡는 방법은 아래의 그림을 참고하면 좋다.
정리하면
- 수구의 1쿠션 지점과 4쿠션의 거리를 계산한다. (예에서는 약 1.4 포인트 정도이다.)
- 계산한 거리의 절반을 구한다. (1.4 / 2 = 0.7 정도된다.)
- 2번에서의 절반은 2쿠션 코너 -> 2쿠션 지점이 된다. (2쿠션의 위치는 코너에서 0.7정도 떨어진 부근이다.)
- 2쿠션 지점 타겟 설정 완료.
- 이 때 1적구와 분리하여 2쿠션으로 향하는 수구의 움직임을 느껴본다.
4쿠션의 스트로크는 3쿠션 보다 살짝 스피드만 추가하는 정도로 공략하면 된다.
그러나 이 자체가 어려움을 느끼는 포인트이기도 하므로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스트로크, 탄력
필자도 아래와 같이 4쿠션 위치가 3쿠션으로부터 먼 경우 필자는 4쿠션으로 2적구 뒷편을 공략하고 기도하는 수준이다.
비거리가 길어지면 당구는 오차가 커진다.
1번으로 설계는 하지만 배치에 대한 부담이 커서 스트로크에 탄력이 커지면 2번의 형태로도 맞을 수 있다.
우선 이전 글의 기본 배치들 부터 완성도 높게 공략하고 아래와 같은 배치는 빠지더라도 씩씩하게 공략하면 좋겠다.
빠질 공간은 존재하지만 아래와 같이 수박(노란 큰 원)에 가까운 공이라고 생각하고 조금 씩씩하게 구사한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3쿠션 지점을 생각해보면 꽤 쳐볼만하다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정리
더블 쿠션은 빗겨치기를 일정 기준으로 연습하면 추가로 얻을 수 있는 초심자에게는 선물같은 배치이다.
그리고 더블 쿠션은 뒤돌리기나 앞돌리기와 같은 좋은 포지션을 불러온다.
반드시 기준을 갖고 좋은 속도로 구사하는 연습을 하자.
연습을 통해서 감각을 끌어올리면 난구 -> 기본 배치화 될 것이다.
'당구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구, 파이브앤하프 빠른 적용하기 (0) | 2023.09.26 |
---|---|
당구, 기본 배치 시작 (0) | 2023.09.16 |
당구, 더블쿠션 기본(1/2) (0) | 2023.09.13 |
당구, 빗겨치기 기본(2/2) (0) | 2023.09.11 |
당구, 빗겨치기 기본(1/2) (0) | 2023.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