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당구 기본

당구, 분리각과 두께에 자신 없으면 1/2두께 먼저 연습하자.(4/4)

2023.11.09 - [당구 기본] - 당구, 분리각과 두께에 자신 없으면 1/2두께 먼저 연습하자.(1/4)

2023.11.10 - [당구 기본] - 당구, 분리각과 두께에 자신 없으면 1/2두께 먼저 연습하자.(2/4)

2023.11.15 - [당구 기본] - 당구, 분리각과 두께에 자신 없으면 1/2두께 먼저 연습하자.(3/4)

이전 글들을 통해 1/2 두께를 연습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확인해 보았다. 그리고 무회전 1/2 두께의 연습을 하였고 응용 방법으로 1/2 두께에 조금 더 익숙하게 되었을 것이다. 무회전 보다 더 자주 사용될 회전을 추가했을 때의 연습 방법 및 주의 사항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이때 실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두께 설계의 실수나 스트로크의 잘못된 수행으로 달라지는 두께에 대해서도 확인하였다. 이 사항들에 대해서 차근차근 연습을 하고 실전과 접목시킬 수 있다면 여러 가지 장점들이 얻어졌을 것이다. 

1/2 연습으로 인해 얻는 것들

두께에 대한 디테일

자주 이용하는 1/2 두께가 익숙해졌다면 그보다 조금 얇거나 조금 두꺼운 두께에 대해서도 어렵지 않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확장해서 1/2보다 조금 더 얇으면 1/3 두께를 익히는 것이고 1/2보다 조금 두껍게를 익히면 2/3 두께를 익히는 것이다. 어느 정도인지 감이 오지 않는다면 이들 관계를 숫자로 표현해 보면 아래와 같다.

  • 2/3 두께 (=16/24) 
  • 1/2 두께 (=4/8, 12/24) 
  • 1/3 두께 (=8/24)
  • 1/4 두께 (=2/8, 6/24) 
  1. 정확한 수의 비교를 위해서 2, 3, 4의 최소공배수를 구해서 24를 기준으로 표현해 보았다.
  2. 그리고 당구공 61.5mm를 24로 나눠보면 1/24은 2.5625mm이다.
  3. 2/3과 1/2은 4/24만큼 차이가 나므로 4 x 2.5625mm = 10.25mm이다. 즉 1/2 두께보다 조금 두꺼운 2/3 두께와는 약 10mm 차이이고
  4. 1/2 두께 보다 얇은 1/3 두께도 약 10mm차이가 난다.
  5. 우리의 큐의 팁의 지름은 약 11~12mm이다.
  6. 즉 2/3 vs 1/2 vs 1/3 두께 간의 차이는 팁의 크기 조금 안되게 차이가 난다. (이게 제일 중요하다)
  7. 그림으로 표현하면 1/2 기준으로 한 팁씩 좌우 이동하면 두께에 대한 설정이 가능해진다.

큐의 지름을 이용한 두께 설계법

앞서 두께에 대한 자신감과 더불어 1/2 두께를 확실히 연습한다면 2/3과 1/3 두께 역시 팁의 크기만큼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두께에 대한 선명도가 증가될 수 있다. 

추가로 8 등분법으로 예를 들면 3/8 두께(=9/24)이나 5/8 두께(=15/24) 조절도 가능하다. 약 1/2 두께에서 좌우로 반 팁 조금 넘게 조절하면 된다. 

키스 빼기

이전 글에서 1적구를 1/2 두께로 치면 1적구는 30도로 회전에 상관없이 분리가 된다고 하였다. 1/2 두께로 치면서 동시에 1적구가 30도 정도로 분리된다는 것에 익숙해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각각의 과정이 아닌 하나의 과정으로 연습해야 한다. 이걸 응용해서 1/3, 1/4 두께로 치면 30보다 크게 1적구는 분리된다. 40도 정도로 보면 크게 무리가 없다. 그리고 1/2 보다 두껍다면 30도보다는 작다라고만 인지해도 된다. 

수구의 분리각과 1적구의 분리각에 익숙해진다면 이제는 수구의 진로를 예측하는 것과 1적구의 진로를 예측하는 것이 동일한 과정이라고 봐도 된다. 특정 배치에서 수구를 보내는 게 자신이 없다면 1적구를 어느 정도로 보낸다라고 설계를 하는 방법으로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포지션

앞의 방법으로 1적구의 움직임에 관심이 증가하고 연습량과 실전 경험이 쌓이면 다음에는 포지션 능력도 증가할 수 있다. 여기에 큰 도움을 주는 원리가 "1/2 두께로 치면 1적구와 수구가 공이 맞기 직전 전체 힘을 절반씩 나눠 갖는다."이다. 당연히 그 보다 두꺼우면 1적구가 더 많이 이동할 것이고 얇으면 더 적게 이동할 것이다.

당구 점수가 늘어서 20점 중반정도되면 많은 배치에서 좋은 스피드로 구사하게 된다. 그리고 힘조절을 하여 수구가 2적구에 맞고 많이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연습하게 된다. 다음 추가 득점에 유리해지기 때문이다. 추가로 여기에서 1적구를 어느 정도 두께로 공략하였는가를 생각해 본다면 1적구의 대략적인 위치도 예측해 볼 수 있다. 

쉬운 배치를 놓고 두께, 분리각을 생각해 보면서 연습하길 바란다. 스피드를 조절하면 기존에 공략하던 방법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회전량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당점과 회전량의 조절이 필요할 수도 있다. 

뒤돌리기 시 수구의 분리각과 1적구의 진로 예측

 

정리 및 과제

1/2 두께를 시작으로 예를 들고 정리했던 내용들은 결국 공략할 때 최종 루틴으로써 포함되어야 한다.

2023.10.11 - [당구 기타] - 당구칠 때 루틴은 어떻게 되시나요?

실전에서 "1/2 두께는 어쩌고 그것보다 얇아야 하니 이때 1적구는 30도 보다 크고 힘은 어떻고" 이렇게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루틴에 포함하려면 연습을 충분히 해야 실전에서 적은 시간을 들이고도 공략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연습할 때는 반드시 실전이라고 생각하고 연습하여야 한다. 

이상 총 4회에 걸쳐서 분리각에 대한 내용을 썼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각 단계마다 충분한 연습이 필요하다. 많은 연습이 되어야 이러한 과정을 잊고서도 수구와 1적구 컨트롤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반응형